틀 FRAME
한 칸, 한 평, 나 만의 절대공간
JJ중정갤러리
/박찬우 개인전
정겨운 개나리가 담을 따라 멋지게 늘어져있던 동네의 어느 주택도 얼마전 빈 집이 되었다.
아마도 이방인인 나는 모를 이야기가 부지런히 펼쳐지고 있는 듯한 성북동에는 오래된 나무와 집들이 하나둘 허물어지고 똑같이 생긴 신축 빌라들이 지어지고 있다. 그런 집을 보러 간 적이 있는데 놀랍게도 내부까지 모두 닮아있었다. 마치 같은 건축업자가 지은 것 처럼.
지난 봄에 사라진 집 앞 은행나무 두 그루가 더욱 그리운 가을이었다. 까치가 우는 소리 대신 들리는 공사 소음을 견디느라 창문 한번 시원하게 열어두지 못했다. 어쩌면 이 동네를 미련없이 떠날 수 있겠다는 생각까지 들었다. 그럼 어디로 갈 것인가? 갈 곳이 없다는걸 알면서도 저녁마다 '건축탐구 집'을 찾아보며 환기한다. 바람이 잘 통하고 자연과 가까운 집. 은퇴 후 찾아가는 이상의 집들과 성북동은 반대로 가고 있다. 물론 저 먼 높은 곳의 성북동은 변화없이 고요하다.
연차를 낸 평일 아침, 전시에 대한 아주 짧은 내용만 읽고 단숨에 이끌려 중정갤러리에 다녀왔다.
평창동 골목 끝에 있는 갤러리는 걸어 올라가는 길부터 전시의 시작처럼 느껴졌다. 멀리 보이는 큰 창을 바라보는 순간 안의 공간이 펼쳐지는 느낌. 나무를, 붉은 벽돌의 지붕을, 저 멀리 산을 한 폭에 담은 창문은 딱 그곳에 어울렸다. 시원하게 펼쳐질 한 쪽의 창문은 더욱 근사했다.
작가는 숲, 바다, 들판, 도시에 놓인 한 평의 흰 박스를 멀리서 담아냈다. 흰 박스는 정육면체로 보이기도 했지만 한 쪽이 뚫린 모습을 보여주기도, 마지막으로는 두 면을 열어 바다를 바라보는 장면을 담기도 했다. 처음에는 그 한 평의 작은 공간이 인간이 소유한 집처럼 보였고 편히 쉴 방처럼 보이기도 했다. 그러나 바다를 바라보는 장면에서 결국 내면에서 밖을 바라보는 시선, 마음가짐, 상태로 보이기 시작했다. 한 평의 마음에서 바라보는 무한대의 수평선- 곧 무한한 마음에서 그려지는 무한한 힘.
한 평의 둥근 샘물 위, 길게 매달린 돌이 시계 추처럼 움직였다.
놀랍도록 잔잔한 파장이 가끔 나타나 한 평 전체로 퍼졌다, 다시 사라졌다.
거의 움직이지 않다시피 움직이는 제 속도의 돌을 바라보며 알 수 없는 이유로 편안함을 느꼈다.
3 Comments
제목과 글 그리고 사진이 한편의 아름다운 작품 같아요.
ReplyDelete이 글은 세번째 보네요. 아니 블로그를 서너번 봤어요. 글을 읽을 때마다 매번 다른 기분이 드는건 왜일까 싶기도 하고 ㅎㅎ
너무 반가운 댓글을 이제야 발견했어요 :-)! 이 전시가 큰 위로가 되었었는데 그 마음이 느껴지셨나봐요..!! 이 글에 등장했던 개나리 담이 멋졌던 주택 자리에는 어느새 빌라가 올라갔다는 소식을 성북동 까치가 전해드립니다ㅎㅎ
Delete성북동 까치 ㅎㅎㅎ
Delete